송용민신부의 신학하는즐거움
제1부 - 삼위일체이신 하느님
1. 신학적 기초의 중요성
1) 학문적
기초의 중요성 : 기초가 중요하다?
① 기초의 중요성
②
인생의 기초의 중요성
2) 신학에서의 기초의 중요성
①
성경에 나타난 기초의 중요성 :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
(
"나의 이 말을 듣고 실행하는 이는 모두 자기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슬기로운
사람과 같을 것이다." 마태 7, 24 )
② 신앙의
기초적 교육의 중요성 : 이유 - 올바른 신앙의 식별을 위하여 중요 ●
오늘날 다원주의(상대주의) 시대에 종교적 가치들의 혼합 속에서 올바른 그리스도교적
가치와 정신을 발견하고 지키는 것이 중요
●
그리스도교 신앙을 이해하고,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리스도교적 신학의 참된 기준과
원칙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
2.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적이고 중심적인 원리들
①
거룩한 신비이신 삼위일체 하느님
⇒ 나는 신비이신
하느님을 향하여 살고 있는가?
②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언하는 성경과 성전
⇒
나는 하느님 말씀에 귀 기울이고 있는가?
③ 복음이 선포되고 들려지는 오늘의
현실 세계
⇒ 나는 나의 현실 속에서 하느님의 표징을
읽고 있는가?
④ 신학함의 행위가 그 안에서 이뤄지는 신앙 공동체로서의
교회
⇒ 나는 교회의 구성원으로서 나의 책임과 의무를
다하고 있는가?
⑤ 신학 하는 응답적 주체자로서 '인간실존 그 자체'
⇒
나는 한 인간으로서 내 생에 대하여 책임 있는 신앙적 결단을 내리고 있는가?
제1부
삼위일체이신 하느님
1. 우리가 믿는 하느님은 누구신가? - 거룩한 신비이신
삼위일체 하느님
1) 오늘날의 신학함의 출발점
①
하느님이라는 이름이 존재한다.
② 하느님의 거룩한
신비에로 섭리된 인간
③ 인간이 체험하는 어두움 속의
하느님
2) 신학의 심장 - "삼위일체이신 하느님"에 대한 신앙 고백
가)
첫 번째 질문 : "내게 하느님은 누구신가?"
①
나는 어떤 하느님을 믿는가? ⇒ 내가 동경하고 희망하는 하느님의 속성
②
나는 하느님을 어떻게 부르고 있나? ⇒ 하느님의 이름들 : "하느님은 이름을
가지고 계신가?"
③
하느님은 내게 누구이신가?
나) 두 번째
질문 : "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하느님을 어떤 분으로 알고 있는가?"
①
나자렛 사람 예수 안에서 우리는 인격적인 하느님을 만난다 : 예수님의 아버지로서
하느님
② "예수님은
우리의 구원자, 메시아, 그리스도이시다"라는 신앙고백
다)
세 번째 질문 : 나는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을 어떻게 체험할 수 있는가?
①
우리는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신비를 "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안에서"
고백한다
② 삼위일체
신앙의 출발점: 인류 역사 안에서 "예수 그리스도"의 인성과 신성에 대한
체험 (사람이시면서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)
(1)
성부에 대한 신앙
●
창조주이신 만물의 주인이신 인격적인 하느님
(2)
성자에 대한 신앙
●
예수 그리스도와 아버지의 완전한 일치
●
십자가에서 자신을 봉헌하신 예수님
(3)
성령에 대한 신앙
●
협조자, 위로자, 보호자로 파견된 하느님의 거룩한 영(성령)
라)
삼위일체의 신비에로 초대된 그리스도인
①
하느님의 영원한 내적 사랑에로의 초대
●
창조된 세상(피조물) 안에서하느님의 표징들을 만나는 것, 즉, 우리가 사랑할 수
있고, 감사할 수 있으며, 고통과 죽음의 현실 속에서도 영원을 갈망하며 살아갈 수
있는 수많은 은총의 순간들을 만나는 것
●
사람이 되신 말씀, 곧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 아버지를 알고, 사랑하고,
신뢰하며,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 안에서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께 봉헌하는 완전한
자기 비움과 봉헌을 배우는 것
●
세상 끝 날까지 함께 계실 하느님의 거룩한 영, 즉 위로자이시자, 협조자이신 성령께서
이끄시는 인류 역사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믿고, 희망하며, 사랑하며 살아가도록 초대된
그리스도인의 실존을 자각하는 것
②
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단어가 사랑인 이유 -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성에서 유래
- 우리가 가장 하느님을 닮은 모습이기 때문
③
신학할 때 가장 중요한 자세 : 하느님의 신비 앞에 경외하는 마음과 기도하는 마음,
찬미하는 마음과 감탄할 줄 아는 마음을 함께 가져야 한다는 것
재생목록 26